■ 진행 : 강진원 앵커,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혜윤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올여름 막바지 장맛비는 오후 들면서 약해진 곳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내일이면 역대급 긴 장마가 끝이 나겠고 다음 주에는 33도를 웃도는 폭염과 열대야가 기승을 부릴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와 함께 올여름 장마의 특징과 앞으로 날씨 전망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스튜디오에 정혜윤 기자 나와있습니다. 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어제 중부 지방에 최고 300mm의 호우가 예보돼 걱정했는데, 다행히 큰비가 내리진 않았던 것 같습니다.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려했던 것 만큼의 호우는 내리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강원도 횡성과 경기도 가평, 여주 등에 어제와 오늘 100mm가 조금 넘는 비가 내렸고요, 서울에서도 성북구에 70mm 가량의 비가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에서 어제 예상한 최고 300mm에는 절반에도 못 미치는 양이어서 일단 예보 자체만 놓고 본다면 또 빗나간 셈입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예상했던 것보다 비구름이 한곳에 정체하지 않고, 분산된 상황에서 빠르게 비를 뿌리고 지나가면서 예상보다 적은 비가 내렸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예고됐던 대로 경기 남부와 강원도 쪽으로 다소 강한 비구름이 만들어지면서 여주 등 일부 지역에는 시간당 30~50mm의 국지성 호우가 집중됐고, 서울에도 새벽 한때 빗줄기가 굵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후 들면서는 서울과 경기 북부 영서 북부 등 내륙의 호우특보는 대부분 해제됐고, 지금은 강원 남부에만 호우주의보가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예보대로 비가 내리긴 했지만 최근 기상청 예보에 대한 신뢰도 문제가 기사에서도 많이 다뤄지고 있는데, 예보하기가 어려운 날씨인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기상청 예보 능력이 시험대에 오르면서 기상청 자체내에서도 무척 곤혹스러운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올여름 북극 찬 공기가 중위도까지 남하하면서 여름철 날씨에 강하게 영향을 주고 있고,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도 평년에 비해 약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다 보니 보통의 여름철과는 다른 양상의 날씨 패턴이 나타났는데요. <br /> <br />기상청에서는 일단 올여름 이미 긴 장마로 재난 상황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강우량을 적게 냈다가 대비를 하지 않고 피해가 나면 안되기 때문에 일단 여러 개의 시나리오 중에 강우량을 최악의 상황으로 발표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0081516264174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